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게시물을 뉴스나 다른 곳에서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보배드림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글쓰기 수정 삭제 목록
  • 댓글 (30) |
  • 내 댓글 보기 |
  • 레벨 중장 대천사미카엘 02/10 10:23 답글 신고
    ...
  • 레벨 상사 2 변신괴물 02/10 10:24 답글 신고
    베이버록>>베이퍼록
  • 레벨 상사 1 C63M3 02/10 10:34 답글 신고
    그니깐 비엠이라고 다 잘 멈추는게 아니고,
    국산차라도 브레이크튜닝만 적절히 한다면
    비엠보다 잘 멈춘다는 뜻이죠??
  • 레벨 중사 1 비스바덴 02/10 11:33 답글 신고
    네 "그럴수도 있다"라는 말이 맞는거 같습니다. 브레이크는 오로지 브레이크만으로 제동이 되는건 아닙니다. 제가 글에서 이야기 한것은 모든것이 다 똑같을때 브레이크의 성능만을 이야기 한것이죠. 공기역학, 타이어, 서스펜션, 밸런스 모든것이 제동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 레벨 중장 伏날便犬 02/10 10:35 답글 신고
    저도 그 글을 읽어보았는 데요.

    그 글쓰신 분은 레이서나 과속형 운전자가 아닌 보통운전자의 관점에서 쓴 글이더군요.
    그리고 브레이크 튜닝 자체를 아예 부정한 것이 아니라 브레이크 튜닝은 전문가와 상의 하여 종합적인 관점에서 하라는 얘기더군요.

    단순히 에쿠스 브레이크 캘리퍼를 쏘나타에 얹는다고 브레이크 성능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는 것이죠.
    브레이크 압력은 부스터에서 결정하는데 그런 원천적인것을 손대지 않고 캘리퍼를 1p에서
    2p 혹은 4p로 튜닝하는 것은 성능 up이 별로 없다라는 것입니다.

    물론 아주 극단적인 조건하에서는 제동거리 3m 차이도 큰것은 맞지요.
    하지만 일반적인 주행에서는 별차이를 못느낀다는 것이라고 설명한 부분은 개인적으론 이해가 갑니다.

    대부분의 운전자는 순정상태의 브레이크를 그대로 사용하지 제동거리가 걱정되어 모든 사람이 브레이크 튜닝을 하지 않는 것은 사실이잖아요.

    제가 볼때 그 글의 요지는
    브레이크 튜닝을 하더라도 뭘 좀 알고서 브레이크 튜닝을 하라는 글로 보였습니다.
    브레이크 튜닝 자체를 부정하진 않았고 제대로 브레이크 성능을을 높이려면 단순히 1p에서
    2p 혹은 4p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자 한것 같습니다.


  • 레벨 중사 1 비스바덴 02/10 11:50 답글 신고
    단순한 피스톤의 증가로 제동거리가 짧아진다는 말은 물론 말이 안되지만 피스톤의 증가로 인해 디스크의 크기와 패드의 크기 역시 달라집니다. 그걸 참조하시길 바랄께요^^
  • 레벨 하사 3 제네세단 02/10 12:22 답글 신고
    저도 그렇게 봤어요...일반 주행자에서 그냥 보험용으로 들어놓은 브레이크는 득보다 실이 될수 있다...할려면 똑바로 알고 해라... 이렇게요...
  • 레벨 소위 3 시뻘건다라이 02/10 10:52 답글 신고
    어려워서 패스~~.......
  • 레벨 대령 3 G35Ddos 02/10 11:16 답글 신고
    비엠 브레이크는 너무 민감하다능......
  • 레벨 병장 시우바 02/10 11:18 답글 신고
    플라시보..플라시보 하시는데 정말 플라시보 효과가 아니고 체감할만한 성능항샹이 있습니다....지금 현재 중량이 2톤이 넘는 RV를 타고 있는데 순정2P에서 밀리는 감 때문에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여서 F50 4P로 바꾸고 진짜 이렇게 차이가 나나 싶을 정도로 몸으로 체감이 오던데 또 기존 저가 패드버리고 EBC 옐로우 스터프로 바꾸고 또 달라졌고...앞뒤 제동력 밸런스문제인지 급제동시 차가 앞으로 너무 가라앉는 현상때문에 체어맨 리어2p를
    뒤에 달았는데 이것도 정말 체감항샹이.... 아~ 이 모든것이 그냥 기분상 업되는 플라시보였던가.. ㅡ,ㅡ;;;
  • 레벨 하사 1 똥싸는데10초 02/10 11:25 답글 신고
    도데체 님은 얼마나 밟고 다니시기에..--;;
    안운하세요.
  • 레벨 병장 시우바 02/10 11:29 답글 신고
    겁이 많아서 밟는 만큼 잘 서는것도 중요시 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플라시보 효과는 아닌것 같아서요 스포츠세단 모는 제친구가 예전의 제차 함타보고 무서워서 이걸 어케모냐고 하다가 브레이크 바꾸고 함 타보더니만 이젠 좀 탈만하네라고 하던데ㅎㅎㅎ
  • 레벨 상사 1 spinnnnn 02/10 11:33 답글 신고
    제가 이해한바로는 브레이크 튜닝에 대한 글들이

    뭐 튜닝하면 감은 바뀌는데

    그게 실제 제동거리를 얼마나 줄였냐 하는 문제에있어서는..

    별거없다는 내용들로 이해했슴미다.
  • 레벨 중사 1 비스바덴 02/10 11:53 답글 신고
    spinnnnn님은 그렇게 이해를 하셨군요^- ^ 이해를 하신 상태서 제글을 읽으시면 저글에 오류점을 알 수 있습니다~
  • 레벨 소위 1 그러쿤용냠냠 02/10 11:20 답글 신고
    우앙!! 그러쿤용...
  • 레벨 이등병 쿠페가좋아요 02/10 11:23 답글 신고
    그냥 운전 살살하고 다니는게....
  • 레벨 하사 2 BMW320DM 02/10 11:24 답글 신고
    글쎄여?비엠이 브레이크가 민감하다는건 잘 모르겠고 잘 든다는건 알겠는뎅!!! 비엠 전에 탔던차가 더욱더 민감했었던듯~중량도 가벼운데 디스크로터하고 캘리퍼는 베라크루즈 순정 가공한걸 꼈었거든여~그냥 꽂았지여~하지만 사선을 넣어서 그런지 시간이 지날수록 디스크를 파먹더라구요~비엠 브레이크 만족은 하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튜닝하고싶어서 지금 죽겠습니다.고속에서 급정거시 약간 밀림이 있는거 같아서~
  • 레벨 일병 jekyll 02/10 11:41 답글 신고
    피스톤수를 늘리면서 캘리퍼가 커지고, 패드와 로터가 닿는 면적의 증가도 계산을해야죠.
    그 면적이 커지면서 제동력 자체에도 차이가 생기는데...
    튜닝할 필요없다고 하는글들을보면 그 면적은 언급이 없더군요.
  • 레벨 중사 1 비스바덴 02/10 11:51 답글 신고
    제말이 그말입니다. 단순히 피스톤 갯수만 늘어나는 브레이크 튜닝은 없다고 봐야합니다.
  • 레벨 상사 1 spinnnnn 02/10 11:54 답글 신고
    왜그런얘기를 하냐면요,

    타이어 한계때문에요 -_-.. 어짜피 차들 브레이크 밟으면 바퀴 잠기잖아요 .
    abs 가 터지던지 하겟지만..

    그 한계 안에서 브레이크가 놀기때문에, 살짝 밟아서 바퀴 잠기는거나, 꾹밟아서 바퀴 잠기는거나, 아주그냥 젖먹던 힘까지 써서 밟아서 바퀴 잠기는거나, 바퀴잠기고난다음엔

    제동거리는 똑같아 진다는 얘기
  • 레벨 중사 1 비스바덴 02/10 12:01 답글 신고
    spinnnnn님의 말씀은 맞습니다. 하지만 고속에서 지속적인 브레이킹을 시도한후에 있는 힘을 다해서 브레이크를 잡아보시면 열때문에 서질 않습니다. 무조건적으로 잠기지는 않는다는 말입니다. 우리가 달리면서 브레이크를 한번만 사용하는건 아니지 않습니까 ㅎ 잠기지 아니한 상황이 순정이 빨리 올까요? 튜닝된 차가 빨리 올까요? 순정이 빨리 옵니다^^
  • 레벨 상사 1 spinnnnn 02/10 12:05 답글 신고
    근데 그게 전 모르겟네요 ㅎㅎ..

    한방에 풀브레이킹 도중에 페이드가와서 바퀴 록도 못시킬정도가 될려면 어느정도 속도가 되야되는지.

    그 속도라는게 일반적인 주행에서는 현실적인 속도가 아닐수도 있겟고.
    그런차원에서 하는얘기겟죠 -_-a.
  • 레벨 중사 1 비스바덴 02/10 12:16 답글 신고
    네 ㅎ 한방에 그렇게 페이드가 오진 않죠ㅎㅎ 와인딩시나 혹은 와인딩이 아니라도 산길을 내려가며 쓸때없이 브레이크를 많이 밟는경우나 트랙이나 고속주행시 무리하게 브레이킹을 한다는 조건에 한해서겠죠^^
  • 레벨 일병 jekyll 02/10 12:20 답글 신고
    물론 바퀴가 잠긴뒤에는 차이가 별반없습니다만 바퀴가 잠기기 전까지의 브레이킹이 틀립니다.
    또 몇번의 브레이킹에서의 페이드도 틀리구요.
    순정브레이크 고속주행에서 급브레이크 몇번이면 페이드옵니다.
    급브레이크가 아니더라도 좀 하드한 주행을하는분이면 충분히 페이드 경험할정도죠.
    하드한 주행시 바퀴가 잠길정도의 브레이킹과 그 전까지의 브레이킹과 어떤쪽이 빈도가 높을까요?
    정말 사고직전이 아닌이상 바퀴가 잠길정도로 브레이킹하는분 많지않습니다.
    또 고가의 튜닝브레이크를 하는분 역시 일반적인 주행을 고려하고 튜닝을하는게 아니죠.

    4p/2p, 메쉬호스, 패드, 오일, 로터 이정도킷만해도 체감할정도 차이납니다.


  • 레벨 중사 1 귀달VGT 02/10 11:41 답글 신고
    밑에 글은 일반운전자들이 가지는 브레이크 튠의 환상에 대한 거품을 깨자는 의미의 글 같은데 브레이크튠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는것처럼 와전되고 있는것 같네요. 한마디로 이렇게 흥분하실것 없다 이말입니다.ㅎ
  • 레벨 중사 1 비스바덴 02/10 11:51 답글 신고
    흥분한적은 없지 말입니다 ㅎ 다만 저글의 오류점을 지적할 뿐이어요^^ 앞의 글은 오해의 소지가 많아서요
  • 레벨 원사 3 매뉴얼 02/10 11:58 답글 신고
    제동거리는 사실 타이어의 접지와 가장 큰 관계가 있지 않습니까? 성능 좀 떨어지면 꽉 밟아야 되고.. 다만 밟으면서 제동되기 시작되는 그 시간만큼은 차이가 날겁니다. ABS 없다는 가정하에 콱 밟아서... 타이어 스키드 마크 찍히는 정도는 다되죠. 그 글보면서 저는 다른 부분보다 타이어의 폭과 접지력, 그리고 차량의 경량화가 가장 큰 브레이크 튜닝이라고 생각했는데...
  • 레벨 중사 1 비스바덴 02/10 12:02 답글 신고
    맞습니다 ㅎ 제가 댓글 달아논 부분중에 보시면 다른것은 모두 동일할 때 브레이크의 성능만 다를시 그렇다는 것이지 순정과 8p를 비교해도 타이어의 접지력을 높이는것만 못합니다
  • 레벨 원사 1 VenzaV6 02/10 12:29 답글 신고
    브레이크 성능개선의 핵심은(승용차에 한해)
    1.마스터실린더와 브레이크오일라인의 용량
    (2,4,6,8피스톤 숫자 아무리 늘어나야 마스터실린더가 작으면 말짱 황!)
    2.브레이크 캘리퍼의 피스톤 숫자
    (피스톤수가 많을 수록 디스크 장악력이 증가)
    3.브레이크패드의 재질
    (아라미드 패드, 세라믹, 석면등)
    4.디스크로터의 재질 직경 및 가공등
    (세라믹디스크. 강화주철 디스크 직경의 크기 사선 타공 사선+타공등)
    5.그외 미미하게 브레이크오일이나 브레이크라이닝의 길들임 마모상태, 타이어재질등

  • 레벨 이등병 chrome52 02/10 14:10 답글 신고
    그 글이 이상한건
    일반 사용자 대상으로 (120이상 안밟는) 쓴거 같긴 한데
    마스터 실린더를 업글 하라 라는 이야기를 하는게 아닐까 합니다.

    마스터 실린더등 업글하면 브레이크 페달쪽도 문제가 됩니다.

    이건 일반인이 일반적으로 쉽게 어디 맞겨서 업글할 내용이 아닌겁니다.

    글이 왔다 갔다 하는거죠.

덧글입력

글쓰기
검색 맨위로 내가쓴글/댓글보기
공지사항
t서비스전체보기
사이버매장
국산차매장
수입차매장
튜닝카매장
승용차매장
스포츠카매장
RV/SUV매장
밴/승합차매장
오토갤러리매장
국산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국산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수입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수입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내차팔기
사이버매물등록
국산차등록
수입차등록
매물등록권 구입
게시판
베스트글
자유게시판
보배드림 이야기
시승기
자료실
내차사진
자동차동영상
자동차사진/동영상
레이싱모델
주요서비스
오토바이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