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자료실 > 유머게시판


게시물을 뉴스나 다른 곳에서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보배드림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글쓰기 수정 삭제 목록
  • 댓글 (12) |
  • 내 댓글 보기 |
  • 레벨 소장 족방매야 21.07.09 08:38 답글 신고
    회사 내규가 그러하면 노동청에 신고가 들어가도 경고만 날아갈뿐 딱히 제재하지 못합니다
    보통 연차 관련해서는 근로계약서에 명시를 시켜놓고 매년 갱신 작성하기때문이죠
    근로계약서 자세히 보세요 항목이 있을겁니다
  • 레벨 대위 3 아가는변싼체로 21.07.09 08:38 답글 신고
    위반이에요 신고하면 다받음 3년치는 받을수있음
  • 레벨 소장 뭐만드는사람 21.07.09 08:39 답글 신고
    근로계약서에 연차수당을 지급하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으면 수당안줘도 위반이 아니란거죠?
  • 레벨 준장 넣어드림 21.07.09 08:40 답글 신고
    노사합의에 의해. 그리고 6개월전인가부터 연차사용 독려를 했음에도 가지 않았을 경우 수당지급 의무가 없어진다고 알고 있고, 회사의 연차 승인 거부는 회사가 바쁘거나 그러면 다른 날로 휴무를 줄 수도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 레벨 소장 이재명대통령조국총리 21.07.09 08:40 답글 신고
    뭔 회사 내규가 노동법을 이깁니까 ㅋㅋ

    불법은 불법
  • 레벨 소위 3 이모탄 21.07.09 08:42 답글 신고
    연차수당을 안주는건 근로계약서에 있다면 법적 위반은 아닙니다.

    하지만 특별한 사유없이 연차를 거부하는건 위법입니다.
  • 레벨 원사 3 파사모 21.07.09 08:43 답글 신고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③ 삭제 <2017. 11. 28.>
    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
    ⑤ 사용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 그 기간에 대하여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휴가를 주는 것이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시기를 변경할 수 있다.
    ⑥ 제1항 및 제2항을 적용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간은 출근한 것으로 본다. <개정 2012. 2. 1., 2017. 11. 28.>
    1. 근로자가 업무상의 부상 또는 질병으로 휴업한 기간
    2. 임신 중의 여성이 제74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로 휴업한 기간
    3.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9조제1항에 따른 육아휴직으로 휴업한 기간
    ⑦ 제1항ㆍ제2항 및 제4항에 따른 휴가는 1년간(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의 제2항에 따른 유급휴가는 최초 1년의 근로가 끝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된다. 다만,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20. 3. 31.>
    제61조(연차 유급휴가의 사용 촉진) ① 사용자가 제60조제1항ㆍ제2항 및 제4항에 따른 유급휴가(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의 제60조제2항에 따른 유급휴가는 제외한다)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근로자가 휴가를 사용하지 아니하여 제60조제7항 본문에 따라 소멸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그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에 대하여 보상할 의무가 없고, 제60조제7항 단서에 따른 사용자의 귀책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본다. <개정 2012. 2. 1., 2017. 11. 28., 2020. 3. 31.>
    1. 제60조제7항 본문에 따른 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을 기준으로 10일 이내에 사용자가 근로자별로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 일수를 알려주고, 근로자가 그 사용 시기를 정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서면으로 촉구할 것
    2. 제1호에 따른 촉구에도 불구하고 근로자가 촉구를 받은 때부터 10일 이내에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의 전부 또는 일부의 사용 시기를 정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지 아니하면 제60조제7항 본문에 따른 기간이 끝나기 2개월 전까지 사용자가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의 사용 시기를 정하여 근로자에게 서면으로 통보할 것
    ② 사용자가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의 제60조제2항에 따른 유급휴가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근로자가 휴가를 사용하지 아니하여 제60조제7항 본문에 따라 소멸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그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에 대하여 보상할 의무가 없고, 같은 항 단서에 따른 사용자의 귀책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본다. <신설 2020. 3. 31.>
    1. 최초 1년의 근로기간이 끝나기 3개월 전을 기준으로 10일 이내에 사용자가 근로자별로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 일수를 알려주고, 근로자가 그 사용 시기를 정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도록 서면으로 촉구할 것. 다만, 사용자가 서면 촉구한 후 발생한 휴가에 대해서는 최초 1년의 근로기간이 끝나기 1개월 전을 기준으로 5일 이내에 촉구하여야 한다.
    2. 제1호에 따른 촉구에도 불구하고 근로자가 촉구를 받은 때부터 10일 이내에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의 전부 또는 일부의 사용 시기를 정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지 아니하면 최초 1년의 근로기간이 끝나기 1개월 전까지 사용자가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의 사용 시기를 정하여 근로자에게 서면으로 통보할 것. 다만, 제1호 단서에 따라 촉구한 휴가에 대해서는 최초 1년의 근로기간이 끝나기 10일 전까지 서면으로 통보하여야 한다.
  • 레벨 소장 족방매야 21.07.09 08:45 답글 신고
    노동법은 큰 테두리로 규정해놓은것이지 회사대표와 근로자 간의 서면 작성한 근로계약서 효력이 더 높습니다
    교묘하게 근로계약서 작성해서 근로자와 계약하는 업체가 상당히 많습니다
    그래서 근로계약서 작성시에 정말 자세히 봐야됩니다
    하나하나 항목별로 짚고 넘어가야돼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직접 작성한 근로계약서 자세히 보시길 바랍니다
  • 레벨 대령 1 다이나믹코리아 21.07.09 08:46 답글 신고
    1.연차수당 지급여부는 노사 헙의가 됐으면 불법 아님
    2.연차 사용에대해 특별한 사유가없는데 거부시 불법
    3.연차 사용 독려 했는데 사용 안했다고해서 회사에서 보상을 원래 하기로
    협의가 됐다면 독려 했더라도 보상은 해줘야함
  • 레벨 소장 뭐만드는사람 21.07.09 08:48 답글 신고
    근로계약서의 조건이 나쁠경우 그러면 근로자가 퇴사하는 방법밖에 없는 ㅈ 같은 경우네요
  • 레벨 대위 1 해태브라벚고 21.07.09 10:07 답글 신고
    회사내규가 무슨 노동법을 이겨요 무조건 받을수 있습니다 근로계약서상 명시 되어있어도 노동법상 불법인경우는 인정안해요 무조건 지급입니다 회사다니면서 얼굴 붉히고 그러느니 그냥 참고 다니는 거지 받아내려고 마음 먹으면 무조건 다 받아냅니다 대표적인게 의사들 급여인데 그것또한 퇴직금 관련해서 노동부 신고하면 다받아냅니다
  • 레벨 이등병 붕붕드림 21.07.09 13:19 답글 신고
    연차촉진제도를 도입하여 운영중인 사업장이라면,
    근로자가 사용하지 않은 연차에 대해 수당을 지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연차촉진제도를 적절하게 운영했는지는 살펴봐야할듯하고요.
    회사에서 쉴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줬는데, 근로자는 돈으로 받는게 좋겠다고 안쉬고 미뤄서 소진되어버렸다면?
    당연히 회사도 줄 이유가 없습니다.

덧글입력

0/2000

글쓰기
검색 맨위로 내가쓴글/댓글보기
공지사항
t서비스전체보기
사이버매장
국산차매장
수입차매장
튜닝카매장
승용차매장
스포츠카매장
RV/SUV매장
밴/승합차매장
오토갤러리매장
국산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국산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수입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수입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내차팔기
사이버매물등록
국산차등록
수입차등록
매물등록권 구입
게시판
베스트글
자유게시판
보배드림 이야기
시승기
자료실
내차사진
자동차동영상
자동차사진/동영상
레이싱모델
주요서비스
오토바이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