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졸라분노하는건 저 압구정동 미성아파트사는데..일주일에 두세번 한강 걸어 동호대교ㅡ>반포대교쪽(강남) 가다보면 술먹고 놀다 물에빠져 죽은애(의대생?) 사진이랑 화환? 갖종 꽃다발..포스트잇등 추모공간? 몇년째 있어요 뭐 나라구하다가 죽었나요? 술먹고 놀다 죽은건데 왜 시민의 공간에 사적인 추모공간을 만들어 지나갈때마다 기분이 씁쓸합니다
부모가 대단한 권력이 있는건지..
거긴 외국인들도 엄칑많이 오는곳인데
서울시 다산콜 센타120에 몇번전화해도 몇년간 그대로 지금 외국인데 한국들어가면 매일매일 민원 넣어야겠네요
억울하고 분한 죽음이 너무 많네요
뒤질 윤두창.빤스먹사.이낙쥐.섹스톤.한뚜껑 같은 작자들은 잘 쳐먹고 잘 사는데..좆같네요
글 내용과 댓글을 보니 팩트를 전혀 모르고 직영들만 욕하는 것을
봐서 답답한 마음에 가입하여 글 남깁니다..
해당 작업은 계약직, 직영 상관없이 다 하는 일입니다
그 친구가 계약직이라 시킨것이 아니고 막내니까 아마 한것같구요
안전장비도 없이 왜 그런일을 했냐 하지만 여기와서 일해보면
그런것들이 구조적, 현실적으로 쉽지않습니다
일해보지 않으신 분들이면 제발 가만히 계세요..
그리고 애초에 죽을 정도의 일이면
회사에서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조치를 해놓아야 하는게 맞죠
포항의 모든 직원들이 안타까워하고 슬퍼하고 있습니다
이런 갈라치기식 글은 제발 멈춰주세요..
노동자로서 젊은나이에 안타까운 죽음을 당한것에 너무 분하고 슬픕니다.가족분들에게 힘내시라고 말씀드리고,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작년 12월 가스사고로 퇴직1년 남은신 정규직분 돌아가시고, 2월달에 현대제철 내 로템 외주노동자 추락 사망사고, 이번에 또 꽃다운 나이에 사고로 돌아가시고... 근 4개월만에 3분이나 사고로 돌아가시네요. 제철소가 워낙 위험한 공장인데, 아무리그래도 포스코에 비해서 사고가 너무 많아요. 경영진은 실적에 미쳐서 안전은 주먹구구식으로 관리만 하니. 에혀.
저는 이번 추락사고가 정말 이해되지 않습니다.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일반작업인데 안전벨트 없이 고소 작업을 하는 것은 상상도 안 됩니다.
현대제철 외주업체들 안전관리 강화로 공사 공정 지연되어 이윤 내기 어렵다고 하는데
이런 상황에 직영 계약직의 추락 사고는 진짜 이해가 안 됩니다.
반드시 현대제철은 CCTV 공개해야 됩니다.
고인의 아버지가 경쟁사 직원이라고 하던데
얼마나 가슴 아플지 상상도 안 됩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인턴사원... 장례비용과 보상금이 얼마나 될까요... 오래일한 정규직보다 많지는 않겠죠.
기업입장에선 죽어도 돈이 조금나가는 사람이 죽어야 한다는 생각이 있겠죠.
안전장비를 갖추는 비용보다 사망한 청년 보상금이 더 적게 나간다면 안전장비를 갖추지 않겠죠.
우리나라 군대도 마찬가지. 한명의 병사가 사망할때 드는 보상금이 많다면 병력관리와 안전관리를 더 신경쓰겠죠.
비용의 논리입니다.
그럼 우리는 다른가요?
예전에 한강에서 익사한 의대생의 죽음은 안타까워하고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나이에 사망한 청년노동자에 대해선 언론에서 얼마 다루지 않고 사람들의 관심도 크지 않았습니다. 같은 죽음인데 왜 이런 차이가 있을까요? 이것역시 비용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의 인식은 그 둘이 같은 죽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겁니다. 많은 비용을 들여키운 공부잘하는 의대생과 가난한 노동자청년의 죽음이 같지 않다는 차별적인 인식이 밑바닥에 깔려있는겁니다.
하청을 없앨 수는 없습니다. 일년에 한달만 필요한 전문적인 일을 직영으로 할수는 없습니다. 외주를 주어야 하죠. 문제는 외주업체가 상대적으로 작고 관리를 잘 못해서 그럽니다. 전문직이라 생각하고 더욱 전문가 답게 사업을 해야 하지만 실상은 낮은 단가로 사업을 유지하고 잇어서..
한강고수부지에서 술먹고 죽은 의대생 뉴스에 분노하고 주는 관심 1/100이라도 가져야 합니다
전기로작업은 전부직영이합니다
공백을계약직으로 채웠지만 직영직접계약이라 저분도 직영취급입니다
그리고사람안뽑고 계약직으로채운건 노동조합이아니라 사측이구요
현대제철 사망만 쳐도 12년간 50여명이죽었다고 나옵니다 기사만찾아보셔도 직영이 얼마나죽었는지 나오는데 찾아보지도않고 비정규직과하청만죽어나간다고쓰신건 아닌거같습니다
그리고 이번사건에대해서 현대제철 전공장 조합원들이 분노하고있습니다 더나은 현장을만들기위해 투쟁할테니 팩트로만 욕해주세요
부모가 대단한 권력이 있는건지..
거긴 외국인들도 엄칑많이 오는곳인데
서울시 다산콜 센타120에 몇번전화해도 몇년간 그대로 지금 외국인데 한국들어가면 매일매일 민원 넣어야겠네요
억울하고 분한 죽음이 너무 많네요
뒤질 윤두창.빤스먹사.이낙쥐.섹스톤.한뚜껑 같은 작자들은 잘 쳐먹고 잘 사는데..좆같네요
봐서 답답한 마음에 가입하여 글 남깁니다..
해당 작업은 계약직, 직영 상관없이 다 하는 일입니다
그 친구가 계약직이라 시킨것이 아니고 막내니까 아마 한것같구요
안전장비도 없이 왜 그런일을 했냐 하지만 여기와서 일해보면
그런것들이 구조적, 현실적으로 쉽지않습니다
일해보지 않으신 분들이면 제발 가만히 계세요..
그리고 애초에 죽을 정도의 일이면
회사에서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조치를 해놓아야 하는게 맞죠
포항의 모든 직원들이 안타까워하고 슬퍼하고 있습니다
이런 갈라치기식 글은 제발 멈춰주세요..
왜 목숨걸고 해야합니까?
이런사고가 한두번도 아닌데
큰돈든다고 대책을 안만드는게
아니구요?
안전장비 없이 하는게 구조적 현실적으로 쉽지않아서 사람이 죽어나간다?
작업중지하고 구조를 변경해서라도 사람이 안죽는 현장을 만드는게 우선이지 무슨 말을 하는겁니까?
다음차례가 그쪽이 될수 있어요.
이런식의 글로 여러 사람들이 사건에 대해 알고 언론이 다루어줘야 그나마 회사에서 안전장비를
갖추고 안전교육이라도 하는 척이라도 할거 아닙니까.
딱 글 써놓은거 보고 느낀게 그쪽이 현장직이라면 노예근성에 찌든 불쌍한 사람이고
관리측 사람이라면 기득권에 붙은 더러운 벌레처럼 느껴집니다.
쇳물빠짐 사망사고 상당히 많은 사망자 있는걸로 알고 있어요. 뉴스에 안나온 사고 더 많쵸.
특별한 사망사고가 아니란 말이져 언제든 발생할수 있는 현장의 문제점 인거죠.
현장을 모르니 가만 있으란 말 너무 잘못된 말씀
회사는 근로자를 보호해야할 의무와 사고에 따른 재발방지대책 대응책을 내놓아야 하는 입장인건데
중대사고 발생 안되기 위해 안전교육 과하더라도 시켜야 하는 회사의 입장
님이 말씀하시고자한 현장이 안전장비 또는 안전시설 설치가 어렵다라고 말씀하신걸로 이해가 되는데요
솔까 돈이 문제지 현장 안전관리에 있어서 안되는건 없어요
선생님 같은분이 죽어나가더라도 보험처리하고 위로금 몇푼 던저주고 사건정리하는게 지금까지 제철소의 사망사고 관행이라 알고 있어요.
만에하나 해당제철소 근무자라면 안전관리 와 시설 투자를 강화해야 한다라고 사측에 강력히 어필해야
님또한 안전하게 정년퇴직할수 있는거라 생각 안하시는지?
회사의 안전관리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없다람 님 곁에 동료들은 계속 줄줄이 사탕처럼 죽어갈거에요.
경험상 내 바로 앞에서 사람이 처참한 모습으로 죽어가는 모습 지켜볼때 마다.. 기억에서 잊혀질려면
참 오래가더군요
직영이든 외주든 몇푼더 벌려 네 목숨값 개값 치루며 떠나는 사람들 참 맘 아프네여.
잘못하면 사망사고 나는 일에 인턴을 시키는걸 용납한다는 생각.
아주 가관이구만
흐
흐흐
흐흐흐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일반작업인데 안전벨트 없이 고소 작업을 하는 것은 상상도 안 됩니다.
현대제철 외주업체들 안전관리 강화로 공사 공정 지연되어 이윤 내기 어렵다고 하는데
이런 상황에 직영 계약직의 추락 사고는 진짜 이해가 안 됩니다.
반드시 현대제철은 CCTV 공개해야 됩니다.
고인의 아버지가 경쟁사 직원이라고 하던데
얼마나 가슴 아플지 상상도 안 됩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인턴사원... 장례비용과 보상금이 얼마나 될까요... 오래일한 정규직보다 많지는 않겠죠.
기업입장에선 죽어도 돈이 조금나가는 사람이 죽어야 한다는 생각이 있겠죠.
안전장비를 갖추는 비용보다 사망한 청년 보상금이 더 적게 나간다면 안전장비를 갖추지 않겠죠.
우리나라 군대도 마찬가지. 한명의 병사가 사망할때 드는 보상금이 많다면 병력관리와 안전관리를 더 신경쓰겠죠.
비용의 논리입니다.
그럼 우리는 다른가요?
예전에 한강에서 익사한 의대생의 죽음은 안타까워하고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나이에 사망한 청년노동자에 대해선 언론에서 얼마 다루지 않고 사람들의 관심도 크지 않았습니다. 같은 죽음인데 왜 이런 차이가 있을까요? 이것역시 비용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의 인식은 그 둘이 같은 죽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겁니다. 많은 비용을 들여키운 공부잘하는 의대생과 가난한 노동자청년의 죽음이 같지 않다는 차별적인 인식이 밑바닥에 깔려있는겁니다.
죽음마져도 주검에 따라 차등계산서 발행
이게 이나라의 현실
죽기전에 메이져기업에게 사망계산서 보단
건강히 오래살수 있도록 기업과근로자가 상
생하며 온전히 살수있도록 자구책 마련이
그렇게 어려운건지 모두에게 묻고싶어요
광염(狂焰)에 청년이 사그라졌다.
그 쇳물은 쓰지 마라.
자동차를 만들지도 말것이며
철근도 만들지 말것이며
가로등도 만들지 말것이며
못을 만들지도 말것이며
바늘도 만들지 마라.
모두 한이고 눈물인데 어떻게 쓰나?
그 쇳물 쓰지 말고
맘씨 좋은 조각가 불러
살았을적 얼굴 찰흙으로 빚고
쇳물 부어 빗물에 식거든
정성으로 다듬어
정문 앞에 세워 주게.
가끔 엄마 찾아와
내새끼 얼굴 한번 만져 보자. 하게.
차라리 중견기업이나 중소기업 정직이 더 사람데우 받습니다.
사장, 회장 싹 다 교도소 보내야 정신차리려나?
정규직선생들은 자기들끼리 아주편하게 쉬고
누가 저런델 들어가서 일하다가 죽고싶겠냐고
중처법 제대로 작동 안되는거 같은데?
안전관리 개판이구만
대기업 퇴직해서 사업자 내고 틈세 일꺼리 공략하고
더럽고 위험한일 가져오죠
대기업입장에선 처벌도 피할수있고
의원들이 일을 해봤어야 이렇다는걸 알죠
답글에 없애자는 글 없음
답글에 더럽고 힘든일이 전문직인가요
하청 전부를 예기하는게 아니고 일부분도 아니고
대부분 (반이상)을 글쓴거죠 100%가 있나요
재해법 바껴 무기,사형을 한들 그대롭니다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