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박사학위 취득자 10명 중 3명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세 미만 청년 박사는 절반 가까이가 ‘백수’였다.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박사 백수’가 양성된 것으로, 양질의 일자리 부족이 박사학위 수여자에게까지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다.
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의 ‘2024년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박사학위를 딴 응답자 1만442명 중 현재 재직 중이거나 취업이 확정된 비율은 70.4%로 집계됐다. 일자리를 확보하지 못하거나 구직 활동을 하지 않은 ‘무직자’의 비율은 총 29.6%로, 2014년 관련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다. 신규 박사학위 수여자 중 무직자 비율은 2014년 24.5%에서 시작해 2018년(25.9%)까지 20%대 중반에 머물렀지만, 2019년 29.3%로 껑충 뛰어올랐고, 지난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박사학위 취득자 중 백수가 늘어난 것은 대학교수 등 고학력자를 위한 양질의 고임금 일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교육부의 ‘2024년 교육기본통계 조사’를 보면, 고등교육기관의 전임교원은 전년보다 1.0%(847명) 감소했고, 비전임교원은 3.7%(5352명)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지난해 박사학위를 딴 30세 미만 응답자 537명 중 무직자는 47.7%로 관련 조사를 시작한 이후 가장 높았다. 여성 박사가 남성 박사보다 취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지난해 무직자 비율은 남성 박사(6288명) 중 27.4%, 여성 박사(4154명) 중 33.1%였다.
전공별로 보면 예술 및 인문학 박사의 무직자 비율이 40.1%로 가장 높았다. 자연과학·수학 및 통계학(37.7%), 사회과학·언론 및 정보학(33.1%) 박사도 무직자 비율이 높았다. 반면 보건 및 복지(20.9%), 교육(21.7%), 경영·행정 및 법(23.9%) 전공자는 상대적으로 무직자 비율이 낮았다.
그래도 박사면 사회적 인식이 좋은 편인데 취업시장에선 좋지 못하지우~
아마도 계속된 인구감소 대학학과축소 등이 원인이지 않나 싶어우~
옛날엔 분과가 많았다면 요즘은 계속 통폐합 했으니까우~
연구소도 마찬가지애우~ 그냥 있는 자원으로 뺑뺑이 돌리고 말지 더 늘리진 않았그등우~
TSMC가 2만명이 넘는 연구진이 있다믄서우~
근데 우리나라는 1기업 연구소에 200명이었다던가, 흠...
건너집 중궈에서 박사출신이 식당에서 일하는거 보고 끌끌끌했는데
우리나라 불타고 있는줄 모르고 있었군우@_@호달달
직업에 대한 부당한 차별들도 유난했고
그걸 사회적으로 의식하는 것도...
요즘은 그렇다 치지만 이전엔 너무 심했어요.
그꼴들을 보고 학습한게 있으니
현장직은 기피하고 ...악순환이죠.
여러 프로젝트들을
다른 학교들하구 가치 하거나
기업들하구 해소
그나마 취업이 댄다 알구 있는디
문과 가튼 경우가 마이 힘들다 드러꾸먼유...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