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나라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가지려고 자리다툼을 하는 상황이지만 한국은 다른 길을 모색 중이다. 기다릴 수 있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8일(현지시간) '코로나19 백신, 한국은 가격이 적당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고 말한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백신 공급에 대한 접근법이 한국은 미국이나 유럽연합(EU)보다 훨씬 신중한 편이라며 차이점과 이유 등을 조명했다.
이 신문은 최근 모더나와 화이자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이 긍정적인 임상시험 결과를 보인 가운데 한국 정부 관리들의 백신 공급에 대한 접근법은 미국이나 EU보다 훨씬 신중한 편이라고 소개했다.
특히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오히려 그쪽에서 우리에게 빨리 계약을 맺자고 하는 상황"이라는 지난 17일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의 발언 내용도 전했다.
또 이 신문은 미국과 EU, 일본은 내년 초반 백신 접종을 희망하지만 한국은 내년 하반기 접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비교했다.
그러면서 한국에서는 코로나19가 상대적으로 잘 통제되는 편이어서 다른 곳의 백신 효과를 일단 지켜볼 여유가 있다는 전문가 발언도 소개했다.
국제백신연구소(IVI) 이철우 박사는 이 신문과 인터뷰에서 "확진자 수를 낮게 유지할 수 있는데 서둘러 백신을 주문해 위험을 감수할 이유가 있겠느냐"며 "한국은 미국이나 유럽처럼 급한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
여러 업체에서 새로 개발되어 개나소나 효능이 입증됐다고 설레발 치는데 (특히 중국,러시아)
저런 상황이면 누가 한국의 선택을 받느냐가 안정성이 보장되고 제대로 된 백신을 개발했다는 뜻이고
본격적인 생산과 접종이 가능하다는 반증이 되기도 하겠네요~ 채택 즉시 해당 기업 주가는 천장을 뚫겠고만~
백신 개발회사 입장에서도 정확히 통제되는 시스템에서 본인들의 백신이 접종되어야
신뢰도가 있는 데이터가 됨.
그래서 한국이 가장 매력적인 데이터 수집 국가가 될 수 있음.
그래서 백신 회사들이 한국에 자꾸 러브콜을 보내는 것이고,
우리나라는 백신 맞아서 부작용으로 죽을 수 있는 부담안고 저 회사들 실험 대상이 될 필요가 없음.
백신 개발회사 입장에서도 정확히 통제되는 시스템에서 본인들의 백신이 접종되어야
신뢰도가 있는 데이터가 됨.
그래서 한국이 가장 매력적인 데이터 수집 국가가 될 수 있음.
그래서 백신 회사들이 한국에 자꾸 러브콜을 보내는 것이고,
우리나라는 백신 맞아서 부작용으로 죽을 수 있는 부담안고 저 회사들 실험 대상이 될 필요가 없음.
백신의 특성상 일정시점 지나면 떵값
부작용은 단기가 아님
마스크처럼 일정시점 지나면 남아돔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