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심사·정보·외사 등 통폐합···“수사력 약화”
윤희근 경찰청장이 지난 18일 발표한 조직 개편안에 따르면 경찰은 전국 18개 시·도청도 중복 업무를 통합해 모두 28개과를 줄이기로 했다. 이중 절반에 가까운 12개과가 수사심사과다. 시·도청과 경찰서에서 수사심사담당관 제도를 폐지해 532명의 인력을 줄이겠다고 했다. 검경수사권 조정 당시 수사력 보강을 위해 만든 수사심사 부서를 3년 만에 통폐합하는 것이다.
.
.
경찰서 정보과·외사계 통폐합을 두고도 뒷말이 나왔다. 집회·시위가 많은 62개 경찰서를 제외한 197개 경찰서 정보과가 폐지되고, 외사 역시 안보수사·정보 기능으로 이관된다. 일선서 외사계에서 근무하는 한 경찰관은 “외사 기능 중 방첩, 대테러, 산업 기밀 유출 3개 파트를 제외하고는 안보나 정보와 겹치는 업무가 없다”며 “외사도 엄밀히 따지면 현장 인력이고 그 중요도가 높아지는 추세인데 황당 무지한 개편”이라고 했다. 한 정보관은 “치안 강화를 명분으로 정부가 경찰 기능을 약화하려는 것 아닌가”라고 했다.
.
.
현장에선 “지구대·파출소 인력난 해결 못 해”
지역 경찰관들은 인력 부족·고령화 문제가 심각한 지구대·파출소 인력 충원이 개편안에 담기지 않은 데 불만을 제기했다. 경찰청은 내근직 감축으로 확보한 2600여명의 인력을 전국 지구대·파출소에 배치하더라도 팀당 0.4명이 느는 데 그쳐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했다.
.
.
전문가들 “정부 요구 치우친 땜질식 해법”
경찰 행정 전문가들은 “정부 요구에 급하게 내놓은 땜질식 해법”이라고 지적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치안은 범죄 예방과 범죄 수사 두 바퀴로 굴러가는데, 이번 개편으로 범죄 예방에만 경찰력이 집중되는 듯하다”며 “정부가 치안의 개념을 잘못 이해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
.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경찰 조직을 철저하게 치안 중심으로 구조 개편하라”고 지시했다.
.
.
이윤호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제복 입은 경찰이 많이 보이면 범죄 예방 효과가 어느 정도 있을 것으로는 본다”면서도 “다만 중간관리자인 과장·계장급 인력으로 순찰을 돌리는 건 언 발에 오줌 누기식 해결책이다. 일을 할 수 있는 순경·경장·경사 인력이 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형사기동대 운영에 대해 “검수원복의 뉘앙스를 경찰청장이 준 것”이라며 “형사에게 순찰을 시키겠다는 건 수사력을 뺏는 것과 다름없다”고 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250218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