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daum.net/v/20250122073339773
조선일보는 22일 <“부정선거 증거 너무 많다”더니 이젠 “사실 확인 차원”> 사설을 내고 “윤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불과 얼마 전의 주장과 크게 다르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5일 공개한 자필 편지에선 “부정선거의 증거는 너무나 많다”, “음모론으로 일축할 수 없다”, “엄청난 가짜 투표지가 발견됐다”, “총체적인 부정선거 시스템이 가동됐다” 등의 강한 표현을 써가며 부정선거를 기정사실화한 바 있다.
조선일보는 “부정선거 주장이 확인과 증거 없이 확산할 경우 사회적 분열은 커지게 된다. 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하고 선관위에 계엄군을 투입한 이유가 정말 '부정선거' 때문이라면 이렇게 무책임하고 종잡을 수 없게 처신해선 안 된다. 윤 대통령이 아무 증거 없이 중대한 주장을 해 사회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면 그게 바로 음모론”이라고 했다.
동아일보는 22일 사설에서 “직접 입을 연 만큼 솔직하고 논리적인 답변을 기대했지만 윤 대통령에게서 나온 것은 '그런 적 없다' '그게 아니다' '나 아니다'로 요약되는 거짓과 모르쇠 그리고 남 탓이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회와 선관위의 기능을 마비시키고 계엄 해제 표결을 막으려 했는지, 정치활동을 금지하려 했는지는 계엄의 위헌·위법성을 가를 핵심적인 부분이다. 계엄의 최종 책임자인 윤 대통령의 결심 없이 이뤄질 수 없는 사안이라는 건 상식이다. 몇 마디의 억지와 궤변으로 덮어질 일이 아니다”라고 했다.
중앙일보의 이날 사설 제목은 <윤 대통령, 첫 탄핵심판 출석…반성보다 변명만 하나>이다. 중앙일보는 “국민이 윤 대통령에게서 진정으로 듣고 싶었던 것은 이런 말이 아니라 국민에 대한 진솔한 사과와 반성이었다. 그런데 윤 대통령과 대리인단은 비상계엄이 정당했다는 주장을 되풀이하며 책임 회피를 위한 변명과 궤변으로 일관했다”고 했다. 이어 “아무리 계엄 상황이라도 군이 국회나 선관위를 통제할 수 있는 법적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며 “애초에 계엄군이 국회에 진입한 것부터가 용납할 수 없는 문제”라고 했다.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