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게시물을 뉴스나 다른 곳에서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보배드림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글쓰기 수정 삭제 목록
  • 댓글 (16) |
  • 내 댓글 보기 |
  • 레벨 중장 접니다절므니 20.07.26 21:57 답글 신고
    미국 프랑스는 서로서로 진출안함 취향차이가 커서
    걍 지엠도 그렇고 르노도 그렇고 인수합병해서 다른브랜드로 그지역 팔아먹으면 됨
    르노야 미국서 닛산+미쯔비시로 장사하면 되고
    지엠은 오펠 2017년에 매각했지만 유럽서 100만대씩 팔아먹었죠
  • 레벨 병장 행복이먼데 20.07.26 21:59 답글 신고
    단순 국가 감정인가요? ㄷㄷㄷㄷㄷ
  • 레벨 중장 접니다절므니 20.07.26 22:03 신고
    @행복이먼데 밑에 번식님이 잘 답변했네요
    추가하자면 미국은 대륙이라 직진만 800km가 넘는 도로가 있습니다 크루즈와 승차감 대형차 위주고
    유럽은 반대구요 각나라마다 취향이 틀리죠
    쪽바리만 해도 어느나라건 진출실패죠 걔들은 법부터 경차위주의 법으로 차폭 차길이등 희한한 법이 많습니다
    법보단 그에따른 세금이 지나치죠
  • 레벨 중위 1 호로록후루룩 20.07.26 22:21 답글 신고
    설명 더하자면 국가 도로상황 특성에 맞게 일본 브랜드차들 일본 내수 버전, 북미 버전 사양이 다른 경우가 있죠. 예컨데 혼다 오딧세이 일본 내수 사양은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북미 사양 오딧세이보다 차체가 작습니다. 같은 얘기로 소형차 위주의 르노차는 북미에 어울리지 않는 것이죠.
  • 레벨 중위 2 크뤼티컬 20.07.26 22:45 신고
    @호로록후루룩

    그래도 아시는게 있네? ㅋ

    맞아요 일본 내수용 수출용 차량 규격도 다르고 수출용 고배기량 엔진도 일본에는 출시 안합니다.

    도로 규격을 일본 소형차에 최적화 시켜놓고 해외 자동차가 침투하는걸 막기 위해서죠

    야후재팬 댓글 보면 허구한날 일본 자국 도로규격이 개x같아서 대형차를 못탄다고 탄식하는 애들이 넘쳐납니다

    추천수만 무려 2~3만개씩 받죠
  • 레벨 대령 2 번식탈락찰팅 20.07.26 21:58 답글 신고
    르노 주차종-소형차,소형suv


    미국=트럭,대형suv,대형세단or공간넓은 중형이상차

    램 픽업트럭 쉐보레 픽업트럭

    맨날 이런게 잘팔리는시장이니..
  • 레벨 병장 행복이먼데 20.07.26 22:01 답글 신고
    아~ 이해했습니다
    QM6도 중형인데 오너로 뭔가 아쉬움이 ㅎㅎ
  • 레벨 대령 2 번식탈락찰팅 20.07.26 22:09 신고
    @행복이먼데 애초에 시골에서 마트한번 가려면
    130km를 달려서 마트가는 나라인곳인데

    작은차는 살이유조차 없습니다.,
    미국이 택배가 한국처럼 오는 나라도 아니고

    한번갈때 최대한 많이 사야되는데..
  • 레벨 준장 가짜뉴스충OUT 20.07.26 22:02 답글 신고
    한때 미국에 진출하기도 했는데, 직접 진출은 아니고 1970년대 말 적자에 시달리던 아메리칸 모터스 (American Motors Corporation, AMC)[12]에 출자하고 아메리칸 모터스에서 르노차를 조립 생산하는 방식으로 1970년대부터 이뤄졌는...데 한마디로 안팔려요였다. 초기엔 좀 팔렸는데 경제위기가 풀려나면서 소형차의 인기가 식어버린데다가 품질 및 신뢰성 문제까지 겹쳐 갈수록 판매량이 부진했다고. 이런 식으로 AMC에 출자할 수 있었던 것은 AMC의 대형차를 르노가 기함급 차량으로 들여왔던 적이 있었고, 마침 1970년대에 들어서 경영난에 시달리던 AMC가 이때의 경험을 활용해 르노를 찾아갔기 때문이였다. 1976년에 르노 5를 시작으로 르노 9와 르노 11, 르노 푸에고, 르노 21 등을 비롯한 차를 판매했으며, 그중 르노와 AMC가 합작으로 개발했던 르노 9/11[13] 및 이글 프리미어가 잠시나마 호흥을 얻은 적이 있었다.[14]

    그래도 당시 공기업이였던 르노에서 엄격한 비용 관리를 통해 " 민간 기업과 같이 고품질의 자동차를 만들어 팔자"는 구호를 외치던 조르주 베스 (Georges Besse) 회장이 지프 브랜드의 잠재력 등을 이유로 미국 시장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고 버티고 있었으나 1986년 애먼하게 노동자 해고에 반발한 좌파 테러단체[15]에게 암살(...)당한 뒤 회장이 바뀌면서 AMC 지분을 크라이슬러에 넘기면서 북미에서 철수하게 된다.

    --------------------------------------

    프랑스에선 해고하고 미국엔 투자한다고
    사장이 암살당함 그뒤 철수 ㄷㄷㄷ
  • 레벨 원수 XLR8 20.07.26 22:41 답글 신고
    바로 위 댓글 그대로입니다. 르노도 북미시장 엄청 진출하고 싶어합니다.

    첨언하자면 르노는 국가가 대주주인 공기업이고 당시 AMC는 AM제너럴이라 불리는 군수용 차량 제작 부문도 가지고 있었는데(지프로 잘 알려진) AMC가 프랑스 국영기업에게 지분을 뺏기자 미국 정부에서 AM제너럴을 GM에게 강제로 넘깁니다. 나머지 AMC는 1987년 크라이슬러가 인수하게 되고요. 원래는 AMC 계열이던 지프도 이때 오늘날처럼 크라이슬러 계열사가 됩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세로 일곱칸 그릴이 상징이던 AM제너럴과 지프가 서로 다른 집안으로 넘어가면서 당시 갓 새로 선보였던 전술차량 험비와 지엠이 민수용으로 만들었던 험머 브랜드의 차들도 지프와 같이 세로 일곱칸 그릴을 갖고 있었는데, 이것이 AMC의 고유 상표권으로 인정되며 패소한 험머와 험비는 세로 아홉칸의 그릴로 바꾸게 된 스토리가 있습니다
  • 레벨 중위 2 크뤼티컬 20.07.26 22:43 답글 신고
    푸조가 쳐망했는데 프랑스의 쌍용인 르노가 통할거라고 생각안한거죠
  • 레벨 대위 3 하울 20.07.26 23:28 답글 신고
    북미 시장에 맞는 모델을 내놓아야 승산이 있을 겁니다. 현재 모델로 무리입니다. 피아트나 푸조 모두 북미에서는 처참하게 망했습니다.
  • 레벨 원수 검둥개 20.07.27 01:47 답글 신고
    미국은 큰시장이기도 하지만 아주 어랴운시장입니다
  • 레벨 병장 행복이먼데 20.07.27 07:58 답글 신고
    자고 일어났더니 많은 댓글들이
    새로운 지식을 알게됐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 레벨 준장 다까보까 20.07.27 13:38 답글 신고
    프랑스는 다운사이징에 소형사이즈 위주
    미국은 대배기량에 큰차 트럭 위주
  • 레벨 하사 1 호떡맏형 20.07.27 16:42 답글 신고
    르노닛산미쓰비씨는 서로의 시장에 중복 진출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진출한다해도 고객층을 서로 다르게 해서 시장이 겹치지 않게합니다.

    르노는 북미야 뭐... 닛산꺼 많이 팔게 지원하고 배당금 받으면 됩니다.

덧글입력

0/2000

글쓰기
검색 맨위로 내가쓴글/댓글보기
공지사항
t서비스전체보기
사이버매장
국산차매장
수입차매장
튜닝카매장
승용차매장
스포츠카매장
RV/SUV매장
밴/승합차매장
오토갤러리매장
국산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국산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수입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수입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내차팔기
사이버매물등록
국산차등록
수입차등록
매물등록권 구입
게시판
베스트글
자유게시판
보배드림 이야기
시승기
자료실
내차사진
자동차동영상
자동차사진/동영상
레이싱모델
주요서비스
오토바이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