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이 깊어지게 되면 침전이 잘 일어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유기물이 강 밑바닥에 침전되지.
침전된 유기물이 미생물에 분해되면서 산소가 고갈되는데, 산소를 공급이 어려워지는거야.
그래서 이렇게 수심이 깊은 강을 만들려면 강 본류와 지류가 만나는 지점에 이중보를 설치해서,
3중 여과를 통해서, 깨끗하게 여과된 물만 유입되어야 수질을 유지할수있고,
강 본류에 여과스톤을 설치해서, 최저층에 산소를 공급하게 되면 미생물과 생물에 의해서,
오염물질이 분해되고 제거되면서 자정작용이 유지되지.
4대강 전체를 1급수를 유지하려면 영양염류와 오염물질의 유입을 원천 차단하는 지천지류 정비 사업을 하면서
준설하면서 밭을 높이고, 비료 유실량을 줄이고, 오염원을 관리하는 사업을 해야돼,
이중보 침전지에서 유입된 영양염류가 풍부한 물을 농업용수로 재활용하도록 리사이클링 시스템을 만들어서,
영양염류는 농가에 흡수되고, 깨끗한 물만 여과되어 다시 지류를 통해 침전지로 유입되는거지.
강 본류의 지질 조사를 해야 하는데,
낙동강 하류의 지질 조사를 하자,
0m~9m는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져있고, 9m~15m까지는 점토로 이루어져있는데
암반층 바로 밑까지 굴착을 하는거야.
그리고 그 안에 여과스톤 케이스를 설치하고, 자갈을 넣지 않은체, 점토를 배출하는거지.
점토는 바다로 배출해서 하구둑 밖의 갯벌을 늘리는데 사용하도록 하는거야.
점토가 물에 잘 섞이게 하기 위해서 화학물질을 넣거나, 미생물과 산소를 넣어,
점토를 활성 슬러지 상태, 갯벌처럼 만드는거야.
그리고 물을 흘려보내면서 점토가 점차 줄어들게 만드는거지.
이때 태양광 발전으로 생성된 전기로, 점토층이 물과 혼합되는 설비를 설치해서, 여과스톤을 통해, 점토를 계속 방류하다가,
점토가 사라지게 되면 여과스톤에 자갈을 넣는거지.
물론 처음부터 자갈을 넣고, 점토를 빼는 펌프관을 설치해서,
점토를 계속 배출되도록 만드는거야.
1년이 걸릴지 10년이 걸릴지 모르지만 계속 점토가 줄어들게 만드는거지.
결과를 정해두고, 그 결과에 맞게 맞춰가도록 하는거야.
그러면 강 본류는 암반층 위에 점토 1%이하가 되고, 나머지는 자갈과 모래로 이루어지는 깨끗한 강이 되는데,
수심이 더욱더 깊어지겠지. 제방 지반을 강화하는 사업을 하면서, 깨끗한 1급수를 만들고,
오염물질을 이중보에서 대부분 처리하는거지.
모래 한알에 사는 미생물이 수십만개인데, 산소만 지속적으로 공급하면,
생물학적인 처리량이 매우 높아지는거야.
수심이 깊어져도, 1급수를 유지하려면 오염원을 완벽하게 통제하고, 최저층에 여과스톤을 설치해서,
물을 사용할때, 최저층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만들어야돼.
이 사업이 끝난 이후에는 상류,중류,하류, 지류 구간 단위별로 수질이 악화되면
지하 수처리 시설에서 미생물과 산소를 공급해서 총인을 처리하고,
늘어난 미생물을 회수하고, 3중 여과 시켜 깨끗한 물만 하류로 흘려보내면 되지.
이중보에서 만들어진 물을 농업용수로 재활용할지, 미생물과 산소를 공급해서,
총인 처리후, 미생물을 걸러서 처리할지는 그때가서 결정해야겠지.
중요한것은 어떤 구간이든간에 수질을 관리하고 영양염류 농도를 관리할수있다는거지.
0/2000자